콘텐츠 바로가기



부평캠프마켓 완전반환 준비,

"역사문화 공원으로"

캠프마켓 반환을 설명하고 있는 노태손 의원

노태손 의원 | 부평구 제2선거구(부평3동, 산곡3·4동, 십정1·2동)

부평은 영욕의 세월이 고스란히 담긴 곳이다. 일제로부터 광복의 기쁨을 만끽하기도 잠시, 부평은 다시 미군부대 주둔으로 동네 한가운데가 외딴섬처럼 고립됐다. 갈수도, 찾을 수도 없는 공간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 부평구민은 끊임없이 반환을 요구했고 피와 땀이 밴 노력은 헛되지 않았다. 부평 캠프마켓에 드디어 미군부대가 모두 떠났다. 이제부터는 부평구민이 앞장서고 인천시민이 뒤를 받치며 부평미군기지의 오염된 땅을 정화하고 이곳을 진정한 구민의 땅, 시민의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노태손 의원에게 부평미군기지는 운명과 같다. 구민의 편에 서서 부대 반환을 위해 온 힘을 다했고, 시의원이 된 지금은 부평미군부대가 진정한 시민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게 각종 방안을 마련 중이다. 노 의원은 “지난해 반환이 완료돼 시민에게 개방된 곳 뿐 아니라 폐기물 처리 등과 환경정화작업이 필요한 구역까지 부평미군기지는 진정한 시민의 공간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구민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평캠프마켓 내년 4월 완전반환

캠프마켓 반환구역도

일제 때는 무기공장으로, 해방 후에는 미군기지로 부평 미군기지 운명은 기구했다. 이제 부평 미군기지는 부대 내 제빵공장 이전을 끝으로 시민의 공원으로 재탄생을 준비중이다.
부평구 캠프마켓 D구역에 있던 제빵공장이 지난 9월 평택기지로 완전 이전했다. 이에 맞춰 부대 전체 시설의 완전 폐쇄도 마무리됐다.
부평미군기지가 시작된 1945년부터 지금껏, 약 76년 만에 부평미군기지 일명 캠프마켓은 지도 속에서 사라졌다. 시는 제빵공장 이전으로 환경조사 등을 거쳐 내년 4월 D구역 22만 9,235㎡ 땅을 돌려받게 됐다. 앞서 2019년 12월 한미 합의에 따라 A·B구역 21만765㎡(A구역 10만9,961㎡ B구역 10만804㎡)은 반환됐다. 그동안 A구역은 DRMO(군수보급품 재활용) 기지로, B구역은 숙소와 휴게시설로 이용됐다. 오수정화조 부지인 C구역(5,785㎡)도 시가 넘겨받아 도시재생뉴딜 사업 중이다. 시는 2013년부터 캠프마켓 부지 매입비 4,915억 원을 10년간 분납하고 있다.
노 의원은 “캠프마켓 반환 부지에 시민 문화공원을 조성해야 한다는 대원칙에 맞춰 시민 목소리가 반영된 세부 사업계획이 마련될 계획”이라며 “캠프마켓은 역사와 그에 따른 문화를 안고 있는 공간인 만큼 그에 맞는 공원 조성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캠프마켓 반환구역도

반환면적 : 440,000㎡ (A+B: 210,765㎡, D구역 229,235㎡)

시민 뜻 반영한 부지활용 방안 마련해야

  • 노태손 의원이 부평캠프마켓 공사현장을 둘러보고 있다.노태손 의원이 부평캠프마켓 공사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 노태손 의원이 부평캠프마켓 공사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특히 캠프마켓은 오염토양 환경정화와 함께 일제 건축물 처리방안을 해결해야 한다.
올해 말까지 캠프마켓 B구역에서 제4회 캠프마켓 시민생각찾기 행사를 통해 시민 아이디어를 받는다. 여기에 캠프마켓과 관련된 역사·문화자산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기록화하는 아카이브 사업도 본격 추진된다. 인천시는 아카이브 작업을 통해 시민에게 일제 강점기 조병창부터 미군 주둔기, 반환 후 공원 조성까지의 캠프마켓 역사와 문화자산으로의 가치를 일깨우는 데 주력할 방침을 세웠다.
쟁점은 토양오염 정화 구역(B구역)에 위치한 ‘1780 건축물’ 일명 조병창 병원이다. 이 건물 지하 토양이 유류오염이 된 만큼 정화 방식과 철거 등을 놓고 철거와 보존 문제를 풀어야 할 숙제를 안고 있다.
노 의원은 “시민 안전이 최우선 가치지만 부평미군기지의 역사성과 일제 무기공장에서 핍박받던 부평구민의 고단한 역사까지 함께 남겨질 수 있는 최상의 방안을 마련해야한다”며 “부지 활용 방안을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민과 함께 최상의 정책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목록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