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인천의 탄소중립, 기초부터 탄탄히 지어가기"

인천의 탄소중립, 기초부터 탄탄히 지어가기

인천의 탄소중립 정책은 2018년 제48차 IPCC 총회에서 ‘1.5도 특별보고서’를 채택한 ‘1.5도 선언도시’를 지향하며, 「2045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비전 아래 4가지 정책방향과 15개의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첫째, 저탄소 경제생태도시조성이다.

내구연한을 맞아 종료되는 석탄발전 폐지를 대신하는 해상풍력 등 그린에너지로의 대전환 속에, 에너지 자립형 건물 확충과 친환경 교통인프라 구축, 신기후산업 육성 등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

둘째, 맞춤형 시민 기후행동 확대이다.

시민·기업·공공 등 주체별 맞춤형 기후행동 시나리오와 거버넌스 협력을 강화하고, 자원의 선순환 강화, 탄소중립 시민실천운동, 기후전문가 양성,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확대, 지방정부 실천연대 강화를 추진과제로 제시하며, 특히 온실가스정보를 시민환경지표로 관리해 나갈 것이다.

셋째, 글로벌 기후협력체계 활성화이다.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GCF, UNESCAP, UNOSD 등 15개 국제기구와의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그린 리더십과 파트너십, MICE 역량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넷째,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도시 조성이다.

인천의 168개 섬과 바다, 갯벌 등 천혜자원을 보존하고 도시숲 등 탄소흡수원을 확충하며, 시민들을 기후위기와 기후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기후복지를 확대할 것이다.

인천지역 온실가스는 발전 부문에서 절반 이상 배출하고 제조업의 보일러와 생산공정 등에서 배출되는 양이 10%를 상회하니, 약 3분의 2가 발전과 제조업에서 배출되고 있어 통상적인 대도시의 배출 특성과는 사뭇 상이하다. 이외에 도로를 오가는 자동차와 폐기물 발생·처리와 관련한 배출이 약 17%, 가정·상업·공공 부문에서의 전력과 온수, 지역난방 등의 간접 배출량의 비중이 10% 남짓이니까, 나머지 5% 정도는 농업 부문 배출과 분류가 불분명한 배출인 셈이다.
인천의 석탄화력 발전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퇴출단계를 밟게 될 것이고 지금까지 지역경제를 이끌었던 전통적인 제조업과 산업단지뿐 아니라, 도심의 노후 주거단지 등은 녹색 리모델링과 재생사업을 통해 개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해양자원을 활용한 탄소흡수 기여, 이른바 블루카본이 점차 현실화될 것이다. 특히, 뉴홍콩시티와 제물포르네상스로 대표되는 민선 8기의 글로벌 초일류도시 전략이 탄소중립 전략과 조화를 이루며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시너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신축 및 재건축, 리모델링과 도시 인프라 확충 과정에서 견지해야 할 원칙의 혁신적 전환을 전제해야 한다.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자.

미국 메릴랜드주 실버스프링스의 유니스피어는 미국 최대 규모의 상업용 제로에너지 빌딩이다. 3천여 개의 태양광 패널을 도입하여 연간 1㎿ 이상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건물 곳곳에 도입된 에너지 고효율 기술 도입과 냉난방 효율 개선, 자연광의 적극 도입 등으로 1년 동안 이 건물의 전기 사용량을 충당하고 남긴 전기를 주변지역에 판매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미국 뉴욕의 유명한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은 이미 대대적인 그린 리모델링을 통해 미국에서 에너지 효율이 가장 뛰어난 건물 중 하나로 변신했고, 그리스 아테네 인근 항구도시인 피레아스에서 보수 중인 ‘피레아스 타워’는 1970년대에 건축된 고층 빌딩으로 금년 9월 완공되면 그리스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건물로 탈바꿈하게 된다.
국내에서도 이런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은 최대한 친환경적으로 서버의 열을 내리기 위한 노력과 기술을 담아 건설되었다. 이를 인정받아 2016년 데이터센터로는 세계 최초로 국제 친환경건물인증제도(LEED) 최고 등급인 ‘Platinum(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자연 바람으로 서버의 열을 식히고 태양광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며, 서버의 폐열을 이용해서 온실식물을 재배하고 빗물을 모아 건물 내 용수로 활용하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있다.
건물에 막대한 재원을 투자하며 왜 이러는 걸까? 영국은 금년 4월부터 에너지성능인증(EPC) A~F등급 중 E등급 이상만 임대가 가능하게끔 건축물 규제 강화가 현실이 되었다. 2027년에는 C등급, 2030년에는 B등급으로 점차 임대 가능 요건을 상향할 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미국 뉴욕시는 2024년부터 연면적 2,300㎡가 넘는 건물을 대상으로 탄소 배출량 규제와 함께 기준 배출량을 초과할 경우 과태료를 부과한다고 예고했다. 저렴하게 그렇고 그런 건물을 짓는 것은 희망이 아닌 악몽이 될 수밖에 없는 탄소중립시대를 맞이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최근 승인된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6차 평가보고서는 기후위기에 대한 다급하고 충격적인 경고의 메시지를 담고 있지만, 기존 공급영역의 변화 없이 수요 측면에서의 조치만으로도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의 40~70%를 감축할 수 있고 건축 환경과 인프라 개선 등으로 배출량의 5~30% 감축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도 내놓고 있다. 우리의 현명한 선택에 따라 탄소중립에 다가갈 수도 있고, 소중한 기회가 오히려 탄소중립과 멀어지게 하는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작년 12월 초,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2045 탄소중립 비전 선포와 함께 “기후가 변화하면, 정책도 변화해야 한다”는 적극적 의지를 밝혀 글로벌 초일류도시와 탄소중립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첫발이 내디뎠다면, 인천의 미래를 위한 선제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통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확고한 협력체계와 건전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떼루아(Terroir)를 형성하기 위한 탄탄한 기반 조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조경두

인천연구원 인천탄소중립연구지원센터장

조경두 인천연구원 인천탄소중립연구지원센터장

목록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