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인천도호부관아"

仁川都護府官衙

인천도호부관아 사진

인천의 소중한 문화유산

미추홀구 승학산 자락, 우리 역사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이곳은 인천도호부관아다. 조선시대 행정을 담당했던 관청으로, 객사를 비롯해 부사의 집무처인 동헌, 내동헌 등 15~16동의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곳은 인천도호부의 화도진 지도 ‘화도진도’를 근거로 객사, 동헌, 공수 등 7동의 건물을 그대로 재현한 것이며, 원래 건물은 바로 옆 문학초등학교 교정에 객사와 동헌 일부만 보존되어 있다.

인천도호부관아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아문(衙門)’을 지나게 된다. 아문은 관아의 정문으로, 2층으로 된 누대에 웅장한 팔각지붕 형태를 이루고 있다. 아문과 중문을 지나 만나는 ‘동헌(東軒)’은 수령의 집무실로, 객사의 동쪽에 있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동헌의 중앙은 마루로 된 대청으로, 지방의 일반행정업무와 재판이 행해지던 공간이다. 동헌을 등지고 왼편에 자리한 ‘사주문(四柱門)’은 동헌의 부속 건물로, 수령의 개인비서와 자제가 머무르는 책방 외에 가족이 머무는 내아(內衙)를 왕래할 때 사용된 문이다.

인천도호부관아 사진

다양한 전통체험을 즐길 수 있는 곳

  • 인천도호부관아 사진
  • 인천도호부관아 사진

동헌에서 나와 내협문을 지나면 웅장한 규모의 ‘객사(客舍)’가 보인다. 객사는 임금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건물로서, 동헌보다 격이 높은 만큼 관아 시설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화려하다. 객사는 신성한 건물로, 그 위엄이 드러나게 설계됐다. 가운데 채가 좌·우의 채보다 한 단 높은 솟을대문 형식의 독특한 지붕이 승학산 자락과 어우러져 그 아름다움을 뽐낸다. 돌계단에 올라 객사를 등지고 정면을 바라보면, 인천문학경기장과 문학동 일대의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또한 인천도호부관아 양옆으로 인천향교와 인천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이 자리해 우리 문화에 대한 더욱 풍부한 관람이 가능하다.

이곳은 인천의 역사를 간직한 문화유산임과 동시에 달빛음악회, 추석맞이 민속 문화체험 한마당, 조선시대 과거시험을 재현한 ‘등용문, 용들이 나르샤’ 행사 등 시민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또한 관아 내에는 맷돌, 다듬이와 같은 옛 생활용품과 투호놀이, 활쏘기와 같은 놀잇거리가 마련되어 있어 전통문화까지 체험해 볼 수 있다. 매주 일요일에는 전통 의복 체험도 무료로 진행된다고 하니, 아이와 함께 방문해 우리 문화유산의 정취를 느껴보는 것을 추천한다.

인천도호부관아 사진

인천도호부관아

  • 주소 : 미추홀구 매소홀로 553
  • 운영
    • 하절기(3월~10월) : 10:00~19:00
    • 동절기(11월~2월) : 10:00~18:00
    • 매주 월요일 휴관
  • 지정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Mini interview

이봉락 의원 미추홀구 제3선거구
(숭의1·3동, 숭의2동, 숭의4동, 용현1·4동, 용현2동, 용현3동, 학익2동)

역사적으로 소중한 이 공간이 아이들에게 뜻깊은 체험을 선사한 공간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의원사진

목록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