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11,12월
제154호
전체메뉴 보기
메뉴닫기
의정소식
의장단 메시지
시의회뉴스
상임위원회
5분 자유발언
시정질문·답변
조례가이드
의정캘린더
인천소식
인천 놀이터
우리동네
의원의 서재
인천 전망대
즐거운 인천
인천 이야기
시민소식
발언대
소통 플랫폼
독자이벤트
독자소리함
과월호보기
검색창 열기
의정소식
의장단 메시지
시의회뉴스
상임위원회
5분 자유발언
시정질문·답변
조례가이드
의정캘린더
인천소식
인천 놀이터
우리동네
의원의 서재
인천 전망대
즐거운 인천
인천 이야기
시민소식
발언대
소통 플랫폼
독자이벤트
독자소리함
과월호보기
제목
인천의정소식154호
[인천이야기]
겨울바다의 낭만이 가득한 마시안 해변
마시안 해변은 3km의 긴 모래사장과 해변 길을 따라 형성된 소나무숲의 조화가 아름다운 장소다. 해변 주변으로 위치한 잠진도, 무의도, 실미도 등의 풍경과 ...
자세히 보기
인천의정소식153호
[인천이야기]
가을의 정취가 가득한 정서진
정서진은 강원도 강릉에 있는 정동진과 대칭점에 위치하며, 광화문을 기준으로 정서쪽에 육지가 끝나는 나루터이다.
자세히 보기
인천의정소식152호
[인천 이야기]
만석ㆍ화수 해안산책로
만석·화수 해안산책로는 빼곡하게 들어선 공장과 군부대로 접근이 단절됐던 공간을 친수공간으로 조성한 곳이다.
자세히 보기
인천의정소식151호
[인천 이야기]
뜨거운 역사를 간직한 인천문학경기장
인천문학경기장은 1994년 착공해 2002년에 개장한 종합경기장이다.
자세히 보기
인천의정소식150호
[인천 이야기]
도심 속 역사의 흔적 부평도호부관아
도호부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군사 요충지나 일부 일반 행정 지역에 설치한 지방 행정 기구를 말한다.
자세히 보기
인천의정소식149호
[인천 이야기]
직물 역사로 엮어낸 강화 소창
강화는 1970년대까지 직물 산업이 번성했던 고장이다.
자세히 보기
인천애의회147호
[인천굿즈]
아픈 역사를 간직한 홍예문
홍예문은 인천 중구 응봉산에 자리한 무지개 모양의 돌문이다. 조성 당시, 중앙동과 관동 등 일본 조계지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자 만석...
자세히 보기
인천애의회146호
[인천굿즈]
산성의 역사를 품은 계양산성
인천에서 가장 높은 산인 계양산에 자리한 옛 산성. 시간이 흘러 견고했던 성벽은 무너져 돌무더기가 됐고 그 터만 남았다.
자세히 보기
인천애의회145호
[인천굿즈]
옛 인천을 다스리던 인천도호부관아
승학산 자락에 자리한 인천도호부관아는 조선시대 행정을 담당하던 관청이다. 왕권의 상징인 객사를 비롯해 동헌, 내동헌 등 16동의 건축물이 있었던 것으로 ...
자세히 보기
인천애의회144호
[인천굿즈]
푸른 절경이 펼쳐진 연미정
강화도 월곶돈대 성곽 안에 자리한 고즈넉한 정자. 돈대 앞에 흐르는 한강과 임진강의 물길이 제비 꼬리와 비슷해 ‘연미정’이라 이름이 붙여졌다.
자세히 보기
인천애의회143호
[인천굿즈]
선사시대로 연결하는 강화 부근리 지석묘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리는 강화도에는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인 고인돌이 곳곳에 있다. 그중 강화 부근리 지석묘는 특별하다
자세히 보기
인천애의회142호
[인천굿즈]
돌아온 역사 유물 "수인선 협궤객차"
철길을 따라 달리던 수인선 협궤열차가 인천으로 돌아와 느긋이 쉬고 있다. 선로의 간격이 표준궤의 절반에 불과해 꼬마열차로 불린 수인선 협궤열차.
자세히 보기
인천애의회141호
[인천굿즈]
새로운 가치 "강화소창"
쇠퇴한 산업이 친환경 소재로써 다시 사람들에게 인식되고 있다.
자세히 보기
인천애의회140호
[인천굿즈]
"화려한 변신 사일로벽화"
자세히 보기
인천애의회139호
[인천굿즈]
서구의 유물 녹·청·자
고려의 도자기인 녹청자는 꾸밈없어 수수하고 독자적인 유색을 띠어 자기만의 독특한 멋이 있다.
자세히 보기
첫 페이지
이전 페이지 그룹
1
2
다음 페이지 그룹
마지막 페이지
1
이전
다음
2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