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호국보훈의 달

"창영(昌榮) 초등학교에 가다
40회 졸업생 故강재구 소령의 살신성인"

창영(昌榮) 초등학교 사진

창영초등학교의 옛 본관. 1924년에 지어진 연건평 560평짜리 2층 콘크리트 벽돌건물이다. 당시엔 인천의 ‘멋쟁이 건물’로 칭송이 자자했다. 인천시가 유형 문화재 16호로 지정하여 최근 내부 개보수를 마친 뒤 학생교육용 ‘문화재관’ 으로 활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건국이념 가운데 하나인 3.1만세운동과 대한민국임시 정부 수립이 올해로 100주년을 맞았다. 마하트마 간디(Mahatma Gandhi)가 이끌었던 저 유명한 인도의 비폭력저항운동도, 맨손 으로 일제에 항거한 3.1독립운동이 원형(原型)이라는 평가를 받 는다. 3.1운동은 대한민국은 물론 전 세계 근현대사를 통 털어 첫 손 꼽힐만한 ‘근대시민저항운동’의 전범(典範)이다. 만세운동을 촉발한 계기는 명확했다. 세계 식민지경 영사상 전례가 없는 포악한 일제의 만행이었다. 쇠붙 이를 매단 쇠가죽채찍으로 식민지 한국인을 피범벅으 로 만드는 즉결 처분권을 가졌던 일제의 헌병(憲兵)통 치. 그 잔인함이 10년째 쌓였던 1919년, 우리 민족은 일제히 분노를 터뜨려“대한독립만세!”함성을 뿜었다. 그것이 3.1운동이었다. 그날 오후2시 서울 인사동 태화관(泰華館)에서는 최 남선이 짓고 손병희 등 민족대표 33인이 서명한 독립 선언서를 한용운스님이 낭독했다. 그 자리에 참석했 던 민족대표 29명은 태화관측에서 제보하여 출동한 일제경찰부대 80여명에 의해 포박, 연행됐다. 그때 종로 탑골공원에서는 오전수업을 마친 서울의 중고등학생 4~5천명이 집결해 있었다. 오후 2시경 단 상에 오른 한 학생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했고 학생들 은 일제히 태극기를 꺼내 흔들며“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서울에서 시작된 3.1운동은 메마른 들판의 들불처럼, 전국 방방곡곡에서 활활 타들어갔다. 한국학중앙연구 원이 펴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1919년 3월에 서 4월까지, 전국 212개소에서 약110만 명의 대한국 인이 독립만세를 외쳤다고 집계한다. 1919년 3월에서 4월까지 두 달간 1,214회의 국내시 위가 벌어졌고 성난 시위대는 과잉 진압의 원흉 일제 경찰에 저항하며 관공서 778곳을 습격했다. 그 과정 에서 일제는 더욱 흉포하고 무자비한 살상을 저질렀다. 7,500명이상이 사망하고 16,000여명이 부상당했다. 만세와 시위혐의로 구속된 사람만 47,000명에 달했다. 당시 대한민국 인구가 약 1,000만 명 내외였음을 감안 하면 가히‘대한사람 총궐기’라 할 만 했다.

 

1924년 준공당시의 창영공립보통학교 본관모습1924년 준공당시의 창영공립보통학교 본관모습. 지금은 ‘자랑스런 창영역사’를 전수하는 문화재관(文化財館)으로 활용하고 있다.

3.1운동 시위는 학생이 주도

3.1운동의 뼈대를 세웠던 이는 당대의 종교계를 포함 한 사계의 어른이었으되 시위에 나눠줄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밤새 필경(筆耕)하고 그렸던 주인공은 대부 분은 보통학교, 중등학교 학생들이었다. 국내뿐만 아 니라 침략원흉의 소굴 일본 도쿄에서도 한국유학생들 이 주도하여“대한독립만세!”가 울려 퍼졌다. 심지 끝에 매달린 등불 같던 대한민국의 명운(命運)을 다시금 환한 불꽃송이로 지폈던 주인공, 이 땅의 학생 들은 만세시위에 앞장 서 악랄한 일본경찰의 총과 칼 을 맨몸으로 받아냈다. 그리하여 쏟아진 선홍빛 핏물 은 이 땅 위에 꽃잎처럼 뿌려졌다. 한국나이 18살이던 이화학당 재학생 유관순(柳寬順) 열사는 동료 학우들과 함께 음력 3월 1일(양력 4월 1일) 정오에 충남 천안시 아우내(竝川) 장터에서 군중들에 게 태극기를 나눠주고 만세시위를 주도했는데, 시위에 참 여했던 열사의 부모님 두 분 모두 일제경찰의 흉탄에 세상 을 뜨셨다. 아우내 시위현장에서 체포된 유관순열사는 공주감옥으로 이송됐는데 그곳 감옥에서 3살 터울의 오빠 유우석(柳愚 錫)을 상봉했다. 유우석열사 역시 공주 영명학교 재학생 으로 3월 12과 15일 두 차례에 걸친 공주만세시위를 주도 한 혐의로 공주감옥에 갇혀있었다.

 

1969년 창영초등학교 교직원들이 기념 촬영구 본관건물을 배경으로 1969년 창영초등학교 교직원들이 기념 촬영했다.
졸업 앨범에서 발췌한 사진.

창영보통학교에서 불붙은 인천의 3.1운동

인천의 3.1운동 역시 창영(昌營)보통학교 학생들이 주도 했다. 창영초등학교는 일제가 정미7조약을 내세워 한국 땅 강탈야욕을 본격화하던 1907년 5월, 현재의 인천광역 시 동구 쇠뿔고개(牛角峴; 현재 배다리인근) 근처에서 개 교한 인천최초의 공립보통학교였다. 당시 보통학교 재학 생은 오늘날의 초중고를 합친 것 같은, 10살 전후에서 20대 까지였다. 1919년 3월 6일, 창영공립보통학교 재학생이던 김명진 등 고학년 학생들은 학교와 인천경찰서 정보과로 연결된 전화선을 끊고 인천의 각급학교와 긴밀히 협조, 동맹휴학 을 주도하고 등 연합 만세운동 시위를 이끌었다. 창영보통학교에서 시작된 인천의 3.1운동 열기는 중구 지 역에서 점점 세력을 확산, 부평 지역을 거쳐 인천시 전역 으로 확산돼갔다. 거기에 더해 바다건너 강화도와 교동 도, 용유도(현재의 인천공항자리)와 덕적도까지 만세함성 을 잇대었다. 3월 6일 창영보통학교에서 시작된 시위 다음날인 3월 7일엔 강화군 부내면 장터에서 만세소리가 터졌다. 시위 를 주도한 유봉진 선생이 ‘강화군민에게’란 독립선언서를 배포했고 참석한 김포군민을 포함한 24,000여 강화군민 이 일제히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3월 9일엔 만국공 원(현재의 자유공원)에서 청년·학생이 운집한 가운데 만 세시위가 벌어졌다. 3월 12일 강화군 강화공립보통학교 시위를 시작으로 3월 18일엔 강화읍 만세운동으로 이어졌다. 강화본섬의 만세 운동은 21일부터 24일까지 교동도까지 잇대 만세함성이 하늘을 찔렀다. 3월 23일에는 용유도(현재의 인천공항자 리)에서 조명원 선생 등 11분 의사가 혈성단을 조직했고 3월 28일 강화도 관청리 광장에 운집한 강화주민과 함께 뜨거운 독립만세를 외쳤다. 3월 24일부터 이틀간 부평 계양구 장기동 소재의 황 어(黃魚)장터에서도 6백여 명의 부평주민이 독립만세 를 외쳤다. 만세시위는 3월 27일 미추홀구 주안동일 대와 관교동(당시엔 부천군 문학면 관교리)까지 잇대 며 우레 함성으로 번져나갔다. 4월에도 만세 열기가 이어졌다. 9일에는 덕적도 진리 에서 임용우 선생이 이끈 덕적주민의 만세운동이 벌 어졌다. 임용우 선생은 일본경찰에 체포돼 서대문형 무소에서 모진 고문을 받다가 수형 몇 달 만에 옥사하 고 말았다. 강재구의 살신성인 덕분에 단 한명의 중대원도 부상을 당하지 않았다. 당시 강재구소령의 산화소식은 온 국민이 칭송했고 스물여덟 꽃다운 장교의 죽음은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창영초등학교와 고 강재구소령

올해로 개교 112년을 맞는 인천창영초등학교이 배 출한 졸업생은 4만여 명에 달한다. 콩 심은데 콩 난다 했던가. 창영초등학교는 인천의 3.1운동을 주도한 김 명진 대선배 뒤를 이어 구국 헌신한 인사를 많이 배출 했다. 그 가운데서도 이 학교 40회 졸업생인 고 강재 구소령의 살신성인은 또 하나의 뭉클한 감동으로 다 (위) 1924년 준공당시의 창영공립보통학교 본관모습. 지금은 ‘자랑스런 창영역사’를 전수하는 문화재관(文化財館)으로 활용하고 있다. (아래) 구 본관건물을 배경으로 1969년 창영초등학교 교직원들이 기념 촬영했다. 졸업 앨범에서 발췌한 사진. 가선다. 1937년 인천에서 태어난 강재구는 육군사관 학교를 졸업하고 1965년 한국군 월남파병이 확정되 자 출병하는 육군 맹호부대(현재의 수도기계화사단) 의 제1연대 제10중대장을 맡았다. 파월 전 훈련과정의 하나로 1965년 10월 4일, 강재구 중대는 강원도 홍천군의 한 훈련장에서 수류탄 투척 훈련을 실시했다. 그때 한 이등병이 안전핀 뽑은 수류 탄을 몸 뒤쪽 위로 젖히던 순간, 아차 실수하여 땅바닥 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뒤쪽에 정렬해있던 중대원 쪽으로 수류탄이 떼굴떼굴 굴러가자 중대장 강재구가 본능적으로 몸을 날려 수 류탄을 덮쳤다. 수류탄은 굉음과 함께 폭발, 갈기갈기 찢겨진 그의 몸은 허공으로 날렸다. 강재구의 살신성 인 덕분에 단 한명의 중대원도 부상을 당하지 않았다. 당시 강재구소령의 산화소식은 온 국민이 칭송했고 스물여덟 꽃다운 장교의 죽음은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이 이야기는 1966년 당대최고 영화배우 신성일이 주 연을 맡아 ‘소령 강재구’로 영화화돼 수많은 애국관람 객이 눈물을 삼키며 지켜봤다.

 

  • 인천지역발상지’기념비창영초등학교 교정에 세워진 ‘3.1독립만세운 동 인천지역발상지’기념비.
    1995년 3월4일, 이 학교졸업생 선배들이 뜻을 모아 건립했다.
  • 창영초등학교 문화재관 앞에 세워진‘강재구소령’의 흉상창영초등학교 문화재관 앞에 세워진‘강재구소령’의 흉상. 고 강재구소령은 1949년 창영초등학교 제40회 졸업생이다.

 

(사)인천개항장연구소

소설가, 언론학박사
손상익

손상익 소설가 사진

목록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