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안전하고 스마트한 도시공간 보장"
인천쌀롱 사진

비대면 사회와 연계한 도시구조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재택근무와 원격교육의 확산, 대중교통 이용의 위험성 등으로 도시공간 구조와 형태에 대한 새로운 방향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 포스트코로나 도시공간 이미지
  • 포스트코로나 도시공간 이미지

비대면사회에 적합한 도시공간 재구조화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온라인교육과 재택 근무가 확산되면서 컴팩트시티, 대중교통 중심도시와 같은 기존 도시이론이 반드시 옳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감염 안전성 저하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률이 감소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오히려 대중교통 보다는 자가용 이용을 장려하였다. 도시의 효율성을 고려할 경우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 구조를 바람직한 형태로 여기고 있었으나 상황이 달라졌다. 미국의 경우 자동차 중심도시 LA가 대중교통 중심도시 뉴욕에 비해 팬데믹에 유리한 도시라는 새로운 주장도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대적으로 안전한 이동수단이 되어버린 도보나 자전거 등 개인 모빌리티 증가가 예상된다.
비대면사회에서는 최소한의 이동으로 생활이 가능한 생활권 단위 도시구조 필요성이 증가할 것이다. 도보로 이동 가능한 근린생활권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직주근접 공간설계의 필요성 또한 확대될 것이다. 이동을 줄이고 밀도를 낮추기 위한 다핵구조 또는 분산형 네트워크 도시구조를 선택해야 할 수 있다.
한편 비대면 디지털환경이 강화된 스마트시티 구축이 더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라인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도시가 현실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새로운 도시패러다임에 기반한 ‘안전하고 스마트한 도시공간 조성’을 또 하나의 시정목표로 다루어야 한다.

  • 인천 시정여건 분석

    • 안전한 도보 중심의 마을단위 커뮤니티 형성으로 전환
    • 탈도시화, 분산화 필요성에 따른 도시패러다임 변화
    • 스마트기술 활용 주민체감형 서비스 균형적 제공 필요
    • 언택트 생활방식에 취약한 지역의 회복력 강화 필요
    • 원도심 활성화 사업과 디지털 기반 강화사업 연계
    • 공원 등 개방된 공간에 대한 가치 재발견
    • 생활SOC 접근성과 공간적 배분 등 포용도시 필요
    • 디지털 기반 생활SOC 운영과 공공플랫폼 요구 증가
    • 대중교통 이용률 저하에 따른 대응 필요
    • 교통수요 변화에 따른 교통 패러다임 재설정
    • 세계 경제 침체로 재활용품 수요처 확보 한계
    • 환경관리를 위한 비대면 서비스 수요 증가에 대비
    • 재난시 안전한 물의 안정적 공급·처리 시스템 필수
    • 지속가능 글로컬 기술·제도 필요
  • 인천 대응정책 방향

    • 단기회복
    • 언택트사회 대응형 도보중심 근린생활권 조성
    • 원도심 주민체감형 스마트화 확대 시범사업 추진
    • 공원 등 개방된 녹색인프라 확충
    • 의료·안전 대응 생활SOC 지역별 균형 공급
    • 대중교통 이용성 증진을 위한 안전성 확보
    • 재활용품 배출·수거체계 다양화 및 공공 관리 강화
    • 재난 관련 상하수도 정보 제공 및 요금 감면
    • 중장기 대비
    • 건강하고 안전한 분산형 도시공간으로 재편
    • 커뮤니티케어 적용 도시재생사업 발굴
    • 원도심 스마트시티 기반 구축
    • 디지털 생활SOC 및 공공플랫폼 운영
    • 인천시 여건 반영 교통부문 신기술 도입 방안 모색
    • 원격 환경질 관리 시스템 도입 확대
    • 재난대응 환경기술·제도 연구개발 지원

목록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