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연 시민기자 · 중구

인천해양박물관과 인천항 갑문홍보관 전경.
해양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시설은 갖춰져 있으나, 대학 수준의 교육기관은 부재하다.
인천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해양·항만 도시이다. 해양 산업의 성장 가능성은 크지만, 교육은 고등학교 단계에 머물러 대학 수준의 전문 인력 양성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시의회는 2024년 5월 김용희 의원(연수구2)이 대표발의한 「국립인천해양대학교 설립 촉구 결의안」을 의결했다. 결의안은 정부와 국회에 국립인천해양대학교 설립을 위한 ▲특별법 제정 및 예산 확보 ▲법적·행정적 절차 간소화 ▲수도권정 비계획법 등 관련 규정의 탄력적 적용 방안 모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인천은 인천항을 중심으로 물류와 여객 산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인천항은 컨테이너 물동량 기준 세계 10위권의 글로벌 물류 거점으로, 수도권 수출입 물동량의 80% 이상을 담당한다. 또한 인천해양박물관과 인천항 갑문홍보관 등은 시민들에게 해양의 역사와 산업을 알리고 있으며, 인천해사고등학교와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는 매년 수많은 해양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따라서 인천에 국립 해양대학교가 설립된다면, 수도권의 해양 산업 수요와 교육 공백을 동시에 메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해양 관련 기관 인턴으로 근무 중인 김모 씨는 “인천에 살고 있지만, 진학을 위해 부산으로 내려갈 수밖에 없었다”며 “수도권에 국립 해양대학이 없다는 건 분명한 한계”라고 말했다. 또한 인천 시민 박모 씨는 “항만과 공항을 동시에 갖춘 도시, 인천에 해양 특화 대학이 들어선다면 지역 이미지는 더 좋아지고, 청년 일자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를 전했다.
인천항 정문 전경 
반면 대학 입학 정원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국립대학이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청년 정책 현장을 담당하는 인천청년센터 매니저 김모 씨는 “인천에는 이미 인하대, 인천대에 해양 관련 학과가 있다”며 “산업계와 직접 연결되는 교육·채용 연계가 없다면, 유명무실한 대학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새로운 국립 해양대학 설립은 기업·공공기관과의 연계, 경쟁력 있는 교육 과정, 청년 정착을 위한 정책적 시너지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그 명분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인천이 대한민국 해양산업의 미래를 이끌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천시의회와 인천시, 나아가 국회와 정부가 긴밀히 협력해 실질적인 해답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