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송도경찰서 신설,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김성민 시민기자 ·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치안 인프라 부족

인천 송도국제도시는 국내 대표적인 국제업무·주거 복합도시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 규모와 인구 증가에 비해 치안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현재 송도 전역은 연수경찰서 관할로, 송도국제도시 지구대 2곳만이 치안을 맡고 있다. 문제는 인구 규모에 비해 경찰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연수경찰서 소속 경찰 1인당 담당 인구는 773명으로 전국 평균 391명보다 2배 수준으로 많아, 일선 현장에서 과중한 업무 부담을 떠안고 있는 상황이다.

경찰서 부재 → 치안 공백 → 시민 불안·공포 심화

지난 7월 송도에서 발생한 사제총기 사건은 이러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사건 직후 경찰특공대가 현장에 도착하기까지 약 한 시간이 소요되면서, 주민들의 불안과 불만은 극에 달했다. 당시 인근 주민은 “국제도시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치안 공백이 너무 크다. 가족과 아이들의 안전을 생각하면 하루빨리 경찰서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시의회, 송도경찰서 신설 촉구 결의

이에 인천시의회는 2024년 3월 이강구 의원(연수구5)이 대표 발의한 ‘송도경찰서 신설 촉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결의안에는 송도 지역의 급격한 인구 증가, 치안 수요 확대, 국제도시 위상에 걸맞은 경찰 치안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겼다. 시의회는 해당 결의안을 경찰청과 행정안전부 등 관계 기관에 전달하며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했다.

송도경찰서 신설을 위한 행정적 노력

행정적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송도 랜드마크시티(6·8공구)에 약 1만4천㎡ 규모의 부지를 경찰서 예정 부지로 확보하고, 토지이용계획 변경까지 마쳤다. 하드웨어적 준비는 갖춰졌지만, 경찰청과 행안부의 심사 단계에서 매번 좌절되는 것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인천경찰청은 2019년부터 매년 송도경찰서 신설안을 상정했지만, 2021년과 2022년에는 행안부 심의에서 탈락했고, 2023년에는 경찰청 내부 심사조차 통과하지 못했다. 2024년과 2025년에도 아예 심사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이어가고 있다.

시민들의 간절한 목소리

송도에서 자녀를 키우는 한 학부모는 “야간에 아이가 학원에서 돌아올 때마다 마음이 놓이지 않는다. 국제도시의 위상에 맞는 치안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부지까지 확보된 상황에서 매년 심사에서 배제된다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 결국 지역 주민의 안전을 뒷전으로 미루는 꼴”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필수 과제

송도경찰서 신설은 단순히 하나의 기관을 세우는 문제가 아니다.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의 안전망을 보장하고, 국제도시로서의 신뢰를 지키는 필수 조건이다. 주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또 ‘안전한 인천‘을 실현하기 위해서 송도경찰서 신설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목록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