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광역시의회Incheon Metropolitan Council

메뉴메뉴

상단 검색 열림

자료마당

  1. 인천시의회 홈
  2. 의정활동
  3. 의원연구활동
  4. 지속가능한 해양미래를 위한 인천섬발전 연구회
  5. 자료마당

SNS공유

인쇄

2024년도 의원연구단체
2023년도 의원연구단체
2022년도 전반기 의원연구단체
2021년도 의원연구단체
2020년도 의원연구단체
2019년도 의원연구단체
2018년도 의원연구단체
2017년도 의원연구단체
2016년도 의원연구단체
2015년도 의원연구단체
2014년도 의원연구단체
2013년도 의원연구단체

지속가능한 해양미래를 위한 인천섬발전연구회 현장탐방(2024. 8. 1. ~ 8. 2.)

  • 작성자
    이정혜(행정안전위원회)
    작성일
    2024년 8월 5일(월)
  • 조회수
    112
  • 전화번호
    032-440-6217
  • 이메일
    lifelongedu@korea.kr

지속가능한 해양미래를 위한 인천섬발전연구회 현장탐방

옹진군 덕적도 해양쓰레기 관련 현장탐방 및 정화활동 실시

 

   ○ 기   간 : 2024. 8.  1.(목) ~ 8.  2.(금)
   ○ 장   소 : 옹진군 덕적도 일원

 

인천광역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지속가능한 해양미래를 위한 인천섬발전연구회’가 도서지역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 활동을 펼쳤다.

 

연구회는 8월 1일과 2일 양일간 옹진군 덕적도 어장 일원에서 해양쓰레기 관련 현장답사 및 정화활동을 진행했다. 도서지역 해양쓰레기 실태 파악과 개선방안 모색을 주요 목적으로 신영희 대표의원(국‧옹진)을 비롯해 이봉락(국‧미추홀3), 한민수(국‧남동5), 장성숙(민‧비례) 의원이 참여했다.

 

신영희 대표의원은 “도서지역의 제한된 처리시설과 육지 운반의 어려움으로 인해 효과적인 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인천의 특성에 맞는 해양쓰레기 관리 방안을 연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봉락 의원은 “해양쓰레기는 국경을 초월한 전 지구적 환경 문제로, 특히 인천의 지리적 특성상 도서 지역이 많아 이 문제에 더욱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장성숙 의원은 "현행 관리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기 위한 종합적인 실태 분석이 요구되며, 도서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효과적인 해양쓰레기 처리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민수 의원은 “해양레저 활성화, 연안 이용 증가, 육상 기인 쓰레기 유입 등으로 해양쓰레기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도서지역 해양쓰레기의 발생원, 종류, 분포, 처리 현황 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적극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활동은 2024년 9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될 ‘인천 도서 지역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의 사전 조사 성격도 띠고 있다. 연구용역은 전문가 자문,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선진 사례 분석 등을 통해 종합적인 실태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지역의 특성 및 여건을 고려한 효과적인 해양쓰레기 처리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용역 결과는 인천 도서지역의 여건에 맞는 해양쓰레기 수거 및 처리 계획 수립과 관리를 위한 체계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정책 제안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연구회는 이를 통해 인천 도서지역의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 깨끗한 해양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 출처표시

목록

자료관리 담당자

  • 담당부서 : 입법담당관
  • 담당팀 : 입법정책담당
  • 전화 : 032)440-6163

만족도 평가

결과보기

리스트